안녕하세요! 경제를 스포일링 하는 경.스.포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어제인 3월 16일자 미국 연준은 정례회의(FOMC)를 통해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결정을 발표하였는데요. 이로서 제로금리였던 미국 금리가 0.25%p 상향하였습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과거에 어떻게 변동되어 왔는지 미국 기준금리 변동 추이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고 이후 기준금리 인상 이유와 전망에 대하여도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기준금리 변동 추이
2022년 3월 16일자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을 결정하였습니다. 기존 제로금리(0.00~0.25%) 였던 미국 기준금리가 0.25~0.50%로 0.25%p 상향되었습니다.
지난 10년 간 미국 기준금리의 최고치는 2.50%(2019년)였고 이후 2019년 7월 31일자 부터 양적 긴축을 중단하며 인하하기 시작했으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출현 이후 경제가 전반적인 침체의 모습을 보이자 2020년 초에는 제로금리(0.00~0.25%)에 가깝게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었습니다.
과거 미국이 기준금리를 단계적으로 인상해왔던 시기는 2015년 12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 동안이 해당됩니다. 이 시기에 제로금리였던 기준금리가 3년에 걸쳐 연 2.25~2.50%까지 인상되었습니다. 그리고 경기가 침체되는 모습이 보이자 2019년 10월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를 낮췄으며, 이후 코로나 사태로 제로금리까지 인하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제인 2022년 3월 16일 미국 연준은 3년 만에 또다시 기준금리를 0.25% 상향하여 0.50%로 인상하기로 결정하였는데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종말되지 않은 시점에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이유와 전망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로 한 가장 큰 원인은 물가상승이 되겠습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은 최근 가파르게 높아지면서 물가 잡기가 시급한 상황인데요. 미국 노동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년 전에 비해 7.5%나 올랐다고 합니다. 이는 1982년 이후 40년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한 수치이고 6%를 웃도는 물가 상승률이 4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 인상이 더이상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더불어 올해 추가적인 인상이 여러번 있을 것이란 의견도 함께 밝혔는데요, 경제 전문가들의 분석으로 연내 6차례(5,6,7,9,11월) 남은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추가적으로 계속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였습니다.
0.25%p씩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인상할 경우 올해 말 기준금리는 1.75~2.00%까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향후 금리 전망에 대하여 FOMC 연준 위원들이 점도표를 통해 올해 말 금리를 1.875%로 예상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연준에서는 내년인 2023년에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대한 입장을 밝혔는데요, 인플레이션 대응책으로 당분간 긴축정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내년 3~4차례의 추가 인상이 적용된다면 내년 말 기준금리는 2.75% 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오늘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이유와 전망, 그리고 과거 변동 내역 그래프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그칠 것이 아니라 과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에 대하여도 필수로 알아야겠는데요, 이 부분은 다음시간에 자세히 한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읽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 이상 경스포였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스포일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개발/재건축/리모델링 차이점, 리모델링 사업 장점과 추진절차 (0) | 2022.03.21 |
---|---|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미치는 영향 (과거 미국 금리 인상 사례) (0) | 2022.03.18 |
원/달러 환율 전망, 환율 상승 원인, 환율 상승이 미치는 영향 (0) | 2022.03.16 |
윤석열 공약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신청, 납입금액 알아보기 (0) | 2022.03.15 |
댓글